취업, 진로/자격증 후기

[자격증 후기]산업공학과 재학생 품질경영기사(필기) 합격 후기 (공부법, 난이도, 과목별 후기)

도다지 2020. 8. 20. 18:52
반응형

최근에 산업공학과에서 가장 많이 따려고 하는 자격증 중 하나인 품질경영기사를 취득하기 위해 필기시험을 봤었다.

2020년 기사 1회2회 통합시행 때 시험을 봤다.

공부기간은 정확히 45일이었다!

우선 결과는 이렇다!

 

점수가 오히려 과잉공부를 한건 아닌가하는 점수가 나왔다.. 코로나때문에 비대면수업을 하면서 공부할 시간이 많았던게 큰 것 같다.

사실 처음에 공부를 시작할 때는 굉장히 막막했었다.

처음 책을 폈을 때 있던 과목은 통계적품질관리였는데, 전공과정에서 통계를 배웠는데도 어렵게 느껴져서 완전 멘붕했었다.

그런데 다른과목들도 계속 공부하게 되면서 통계 공식들이 자연스럽게 외워지고 이해가 되면서 자신감이 붙었다.

아무튼 품질경영기사는 모든 과목들이 전체적으로 연결되어있고, 시너지를 일으켜 공부를 할수록 점점 할만해진다.

 

<공부법>

배극윤 선생님의 책을 사서 인강을 보고 했다.

돈이 있다면 정말 인강보는 것을 추천한다.

이분인강이 진짜 좋은게 시험에 잘 나오지 않는 개념들은 안나온다고 확실히 말해줘서 공부할 양이 엄청 줄어든다.

그분말로는 모기잡는데 대포쏘지 말라고 한다ㅋㅋㅋ

(근데 공부하는 법을 좀 아는 사람들은 이정도는 기출좀 풀다보면 보이기 때문에 독학해도 될 것 같다)

 

인강은 문제풀이 인강을 제외한 개념위주의 인강을 봤다.

이렇게 인강을 듣고나면 안나온다고 한 개념들을 제외한 주요 개념들을 따로 한글파일로 요약하여 정리했다.(이 문서들을 프린트하여 공부했다.)

대충 이런식이다.

그리고 한 과목이 끝날 때 마다 그 과목 기출문제를 풀었다. 그리고 오답도 마찬가지로 한글파일로 정리했다.

나름 열심히 공부했고 본인의 경우에는 인강의 도움이 매우 컸었다.

 

<과목별 후기>

실험계획법

산업공학과에서 배웠다면 그래도 진입장벽이 낮은 과목이나 본인의 경우는 이과목을 수강하지 않아 힘들었다.

그런데 진입장벽이 높아서 그렇지 한번 이해하기 시작하면 전체적인 개념이 거기서 거기라서 쉬워진다.

나무위키에서 만점까지 노릴수 있는 과목이라던데 정말 그렇다.

이과목을 시작하기 전에 통계적품질관리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분산분석에 대한 이해와 1요인실험, 난괴법 등의 다양한 기법들의 차이와 특징이 핵심이다.

 

통계적 품질관리

품질경영기사에서 가장 중요한 과목이다.

크게 공업통계, 관리도, 샘플링검사 3개의 파트로 나뉜다.

이중에서도 공업통계는 절대 포기하지말고 무조건 해야한다.

이 공업통계를 제대로 못하면 관리도, 샘플링검사, 실험계획법, 신뢰성관리 전부 못한다.

가장 어려운 과목이라고 하지만 과락만 면하자는 생각으로 공부하면 안되는 과목이다.

그래도 다행인건 공업통계가 아무리 어려워도 다른 과목을 하면서 익숙해지면서 자연스럽게 외워진다.

 

생산시스템

품질경영과 더불어 계산보다는 암기위주의 과목이다.

산업공학 전공자들에게는 정말 쉽게 느껴질 과목이다.

생산관리, 자재관리, 수요예측 등 생산과 관련된 전반적인 지식을 다룬다.

본인의 경우에는 크게 걱정하지 않고 공부없이 시험을 쳐도 쉽게 60점 이상이 나왔다.

비전공자들에게는 암기량이 많아 힘들다고 한다...

참고로 실기에서는 다루지 않는 과목이기 때문에 깊게 공부할 필요없고 커트라인만 맞춘다는 생각으로 공부하는게 효율적이다.

 

신뢰성관리

 계산위주의 과목이고 어렵지 않은 편이다.

실험계획법처럼 비슷한 개념이 계속 반복되기 때문에 흐름을 이해하면 쉽다.

그런데 그만큼 비슷한 공식이 많아 좀 헷갈린다.

본인생각에는 실험계획법처럼 만점을 노릴만한 과목이라고 생각한다.

 

품질경영

암기위주의 과목이다.

다만 생산시스템과 다르게 상식선에서 풀리는 문제가 꽤있다.

그런만큼 특히 기출위주로 공부하는 것이 속편하다.

생산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산업공학 전공자에게는 익숙한 개념이 많이 나온다.

비전공자라 할지라도 생산시스템보다는 훨씬 할만할 것이다.

걱정되는 것은 이런 암기과목을 실기에서는 서술형으로 풀어야 한다는 것이다..

 

총평

전체적으로 난이도는 보통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통계학적인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은 초반에 어렵게 느낄 것 같다.

(사실 나도 전공에서 배웠다지만 다 까먹어서 거의 처음부터 한 느낌이다...)

하지만 통계에 대해 이해하고 익숙해지기 시작하면 정말 할만해진다.

산업공학과 학생이라면 꼭 따는 것을 추천하고 싶은게 전공에서 배운 것을 확실히 살릴 수 있는 내용이 많다.

본인은 이제 다음 3회 실기를 준비해야한다 ㅠㅠ

원래 바로 칠 생각이었지만 졸업작품과 1년에 한번만 치는 물류관리사를 공부하려고 미뤘다.

다음 실기도 합격하여 이렇게 합격후기를 남기고싶다

 

반응형